2022년 4월부터 도시가스요금이 평균 1.8% 정도 오릅니다. 수입해오는 천연가스(LNG)의 판매 단가 상승에 따른 것인데요. 앞으로 5월, 7월, 10월 총 3회에 걸쳐 추가 인상이 있을거라고 하죠.
<월평균 사용량 기준 요금>
구분 | 4월 | 5~6월 | 7~9월 | 10월 |
요금 | 29,300원 | 31,760원 | 33,100원 | 33,900원 |
인상액 | 860원 | 2,460원 | 1,340원 | 800원 |
* 월평균 사용량 2000MJ(메가줄)
가스앱을 활용해 요금혜택을 받거나 가스 사용을 줄이는 생활습관을 알아두고 가스요금 깨알같이 줄여 보자고요.
1. 가스앱 캐시 적립으로 요금 할인 받기
'가스앱'은 요금 확인 및 납부, 비대면 자가 검침, 이사 및 방문 예약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앱인데요. 매월 납부하는 가스요금을 캐시를 통해 할인 받을 수 있습니다. 안드로이드를 사용한다면 가스앱과 연동되는 '가스락' 앱을 다운 받아 잠금해제 시 광고보기 등으로 추가 적립을 할 수도 있어요.
1) 캐시 적립 방법 확인하기
가스앱 하단의 '전체메뉴 > 혜택 > 캐시 적립 및 프로모션'에서 상단의 '적립 가능 캐시' 확인하세요.
① 광고 보기 : 광고를 보기만 해도 캐시가 쌓여요.
② 프로모션 : 매월 완료 스템프를 모아요.
- 종이 대신 모바일 청구서 신청 100캐시(매월)
- 상담톡 퀴즈 풀기 100캐시(매월)
- 가스앱으로 자가 검침 150캐시(횟수 관계없이 30일마다 1회)
- 마케팅 알림 수신 동의
- 가스앱 추천 입력
③ 쿠폰 프로모션 : 앱 신규가입자 본인인증 후 도시가스 정보 등록 2,000캐시
④ 혜택 참여 : 해당 메뉴에서 다양한 프로모션 확인 후 참여 최대 50,000캐시
⑤ 꿀알바 : 광고 보기, SNS 참여, 쇼핑 구매 등
2) 사용처 확인하기
가스앱 하단의 '전체메뉴 > 혜택 > 캐시사용'에서 4가지 사용처를 확인하세요.
① 가스요금 즉시 할인 : 현재 납부할 요금이 있다면 '즉시 납부 할인'을 통해 차감 받아요.
② 익월 청구 할인 : '익월 청구 할인' 메뉴에서 다음달 요금을 할인 받아요.
③ 지인, 가족끼리 캐시 모으기 : 모든 세대원이 중복 설치해 함께 사용할 수 있습니다. '캐시 선물하기' 메뉴를 통해 캐시를 모아요.
④ 은행 계좌 송금 : 10,000캐시 이상 적립 시 내 은행 계좌로 송금해 현금처럼 사용해요
* 캐시는 적립일로부터 1년 이후 자동 소멸됩니다.
* 설치 전 내가 사는 지역이 서비스 가능 지역인지 확인해 보세요.
서울도시가스 1588-5788
- 서울시 : 강서구, 양천구, 영등포구, 관악구, 동작구, 서초구, 마포구, 용산구, 서대문구, 은평구, 종로구
- 고양시 : 덕양구, 일산동구, 일산서구
- 김포시 : 다음을 제외한 김포시 전 지역(대곶면, 올권면, 구래동, 양촌읍, 통인읍 일주 지역)
- 파수지 : 전 지역
인천도시가스 1600-0002
- 인천시 : 부평구, 계양구, 서구(전 지역 및 청라지구 포함), 강화군, 남동구(일부 지역 제외), 중구(영종동, 용유동, 무의지소 및 영종지구 포함)
- 김포시 : 월곶면, 구래동, 양촌읍, 통진읍 일부
제주도시가스 1600-3437
- 제주시 : 일도1동, 일도2동, 이도1동, 이도2동, 삼도1동, 삼도2동, 용담1동, 용담2동, 건입동, 화북동, 삼양동, 봉개동, 아라동, 오라동, 연동, 노형동, 외도동, 이호동, 도둥동
- 서귀포시 : 송산동, 정방동, 중앙동, 천지동, 효돈동, 영천동, 동홍동, 서홍동, 대륜동, 대천동, 중문동, 예래동
JB(주) 1544-0041
- 충청남도 : 천안시, 아산시, 보령시, 서천군, 청양군, 논산시, 금산군, 부여군, 공주시
- 세종특별자치시
대륜E&S 1566-6116
- 서울시 : 노원구, 도봉구, 강북구, 성북구(길음동, 하월곡동, 상월곡동, 장위동, 석관동)
- 의정부시 : 전 지역
- 양주시 : 전 지역
- 동두천시 : 전 지역
- 포천시 : 전 지역(일부 도시가스 미공급 지역 제외)
- 연천군 : 전 지역(일부 도시가스 미공급 지역 제외)
2. 가스 사용 줄이는 생활실천
① 가스레인지는 사용하지 않을 때 반드시 잠궈둡니다.
② 온수 사요은 난방보다 에너지 소비량이 많으므로 불필요하게 틀어두지 않습니다.
③ 겨울철 난방을 하는 경우 외출 시에는 완전히 끄는 것보다 '외출모드'를 하거나 낮은 온도로 틀어 두는 것이 에너지 효율이 좋습니다. 또 단열제품, 가습기를 함께 사용합니다.
④ 보일러 밸브는 조금만 열어두고, 난방이 필요 없는 방의 밸브는 잠급니다.
⑤ 난방배관을 주기적으로 청소해 줍니다.
'생활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생리컵 자꾸 샌다면 이것을 확인 (feat. 5년차 사용자의 시행착오) (1) | 2022.04.08 |
---|---|
키보드 자음 모음 분리 현상, 이것만 누르만 해결 돼요 (0) | 2022.04.04 |
컴퓨터 전원 이렇게 끄세요, 클릭 한 번으로 종료 및 예약 종료 (0) | 2022.04.04 |
배고파서 따라오는 길고양이 먹이 추천, 주의사항 (0) | 2022.04.02 |
2022 여의도 벚꽃축제 벚꽃길 개방 연기된 일정 확인하세요 (0) | 2022.04.01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