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전쟁, 호우, 지진, 화재 등 비상 상황에서 당황하지 않기 위해서는 대비가 필요합니다. 상황별 대피 장소, 주의 사항 등을 미리 알아두면 좋겠습니다.
1. 민방공 경보(경계, 공습) 시
1) 대피 장소
- 스마트폰 '안전디딤돌' 앱에서 가까운 주변 대피소 찾기
- 혹은 가장 가까운 지하철역, 지하주차장으로 이동하기
- 포격이 아닌 화확무기 공격 상황에는 높은 건물의 옥상으로 대피하기
2) 주의 사항
- 대피 시 화재 방지를 위해 가스밸브를 잠그고 전기 코드 뽑고 나가기
- 운행 중인 자동차는 가까운 빈 공간에 차를 세운 후 차키를 꽂아두고 대피하기
- 신분증을 챙기고 어린이는 명찰 달기
- 평소 방독면, 마스크, 우의, 응급약품 구비해 두기
* 안전디딤돌 앱 설치하기
2. 호우주의보, 경보, 침수 시
1) 대피 장소
- 외출을 자제하고 실내의 문과 창문 닫은 후 TV, 라디오, 인터넷 등을 통해 기상상황 확인하기
- 침수 예상 시 '안전디딤돌' 앱에서 대피 장소 확인 후 신속히 대피하기
- 공사장 근처, 개울가, 하천변, 해안가, 상습 침수지역, 산사태 위험 지역에서 신속히 벗어나기
2) 주의사항
- 폭우 예보가 있으면 미리 집 주변 배수구 점검하기
- 침수가 예상되는 지하주차장은 모래주머니, 물막이 판으로 대비하기
- 지하 시설은 무릎 높이까지만 물이 차도 혼자서 문을 열기 어려워지므로 주의하기
- 거주 지역의 홍수, 침수, 산사태 등 재해 위험 요인 미리 파악해 두기
- 폭우 시 물이 조금이라도 차오르면 신속하게 대피하기
- 운전 시 타이어 높이의 2/3 이상 잠기기 전에 차량 이동하기
3. 지진 발생 시
1) 대피 장소
신속한 대피를 위해 평소 내 주변 지진 대피 장소를 확인해 두어야 합니다.
- 지진 대피장소 확인하기
2) 주의사항
- 흔들림이 시작되면 문이 뒤틀리기 전에 문을 열어 출구부터 확보하기
- 튼튼한 탁자 아래로 들어가 몸을 보호하고 흔들림이 멈추면 대피하기
- 화재 예방을 위해 가스와 전기 먼저 차단하기
- 지진 발생 직후에는 라디오나 공공기관 안내에 따라 행동하기
- 대피 시 신발을 신고 건물이나 담장으로부터 떨어져서 이동하기
- 에스컬레이터를 타고 있다면 손잡이를 잡고 앉아서 버틴 후 벗어나기
- 대피 시 차량은 이용하지 않기
4. 화재발생 시
1) 대피 장소
- 주변인의 안내에 따라 큰 공터 등 안전한 곳으로 대피하기
2) 주의사항
- 출입문 손잡이가 따뜻할 경우 문 밖에서 불이 난 것이므로 다른 통로로 대피 또는 구조요청하기
- 대피 시 젖은 수건이나 담요로 코와 입 보호하기
- 방화 셔터가 내려와 있다면 비상구 표시 아래쪽을 몸으로 밀치기
- 평소 소화기 등을 구비하고 수시로 점검하기
참고가 되기를 바랍니다.
반응형
'생활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카톡으로 받은 스타벅스 'e카드 교환권' 앱 등록 방법 (0) | 2023.04.11 |
---|---|
장례식에서 많이 하는 실수 7가지 - 사회초년생 체크리스트 (0) | 2023.04.03 |
애플페이 결제 가능한 103곳 한 눈에 보기 (1) | 2023.03.30 |
2023 달라진 연말정산 8가지 한 눈에 보기 (0) | 2023.01.17 |
2023년 손 없는 날 한 눈에 보기 (0) | 2022.12.28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