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나도 모르게 가입되어 있는 보험이 있습니다. 바로 내가 거주하고 있는 지자체에서 나를 대신해 가입해주는 '시민안전보험'인데요. 별도로 가입할 필요도 없고, 보험비를 낼 필요도 없지만 재난이나 사고를 당했을 때 피해를 보상받을 수 있습니다. '우리동네 무료보험'이라고도 불리는 시민안전보험에 대해 알아두고 필요 시 청구해 보시기 바랍니다. 정확한 의미와 청구 방법 등을 공유합니다.
시민안전보험이란?
재난이나 사고로 인한 피해를 보상해 피해를 입은 시민들이 일상으로 빨리 복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지방자치단체가 보험사, 공제회와 가입 계약한 보장 제도입니다. 지방자치단체에서 가입을 하고 있어 해당 지역에 주민등록이 되어 있는 누구나 자동으로 가입되며, 보험료를 지자체에서 부담하므로 100% 무료입니다.
- 지방자치단체에서 시민들 대신 가입한 보험
- 별도로 가입하지 않아도 주민등록된 지역 시민이라면 이미 자동으로 가입되어 있음
- 보험료 100% 무료
- 내가 가입한 보험과 중복 보장 가능
- 나이, 성별, 직업, 병력이 있어도 가입됨
- 지자체별로 보장 항목과 규모가 상이하므로 사전 조회 필수(방법은 아래 참고)
- 사고 발생 후 3년 이내라면 보험금 청구 가능
시민안전보험 보상 사례
주로 자연재해나 화재, 폭발 등으로 인한 사망 사고와 대중교통, 스쿨존에서 발생한 사고 등을 보장합니다. 지자체별로 강도나 감염병, 농기계 사고를 보장하는 지역도 있습니다.
- 시내버스의 급회전으로 의자에서 떨어져 골절된 회사원에게 150만 원 지급됨
- 스쿨존에서 교통사고가 난 어린이에게 수술 후 1,000만 원 지급됨
- 실족사로 인한 익사 사망자 1,000만 원 지급됨
- 보도블럭에서 넘어져 다리를 다친 어르신에게 상해 의료비 76만원 지급됨
- 농사 중 콤바인에 팔이 딸려 들어가 장해를 입은 농부에게 종기계후유장해 600만 원 지급됨
나의 거주지 시민안전보험 조회 방법
시민안전보험의 보장 항목과 보장 규모는 지자체별로 상이합니다. 청구하기 전 본인의 주소지의 지자체 보장 내용을 반드시 확인해 보세요.
국민재난안전포털 사이트( 지역별 시민안전보험 조회 바로가기 )에서 '지역구분'을 입력한 후 '검색'을 누르면 보상받을 수 있는 항목과 규모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 또한 보상 청구 시 필요 서류와 방법, 문의 전화번호 등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기억해 뒀다가 필요 시 유용하게 활용하시기 바랍니다.
반응형
'생활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맹장 터지면 어느 병원? 증상별 병원 진료과 한 눈에 보기 (1) | 2022.10.28 |
---|---|
일회용품 규제 업종별 정리 (최신 추가항목 포함) (0) | 2022.10.27 |
휴대폰 요금 이중납부 등 과납 통신요금 사례 및 환급 방법 (0) | 2022.10.25 |
누런 치아 예방을 위한 두 가지 포인트 (0) | 2022.10.11 |
국립공원 탐방로 예약 시기, 방법 (내장산, 북한산, 지리산 등) (0) | 2022.10.04 |
댓글